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동남아에서도 인기 많은 K-POP

by myLife_Love 2025. 4. 1.

동남아에서 인기 많은 그룹 (태국, 인도네시아, 베트남)

한류의 세계적 확산과 함께 K-POP은 아시아 전역에서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동남아시아는 특히 K-POP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높은 지역으로 손꼽힙니다. 태국, 인도네시아,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국가에서는 K-POP 아이돌의 앨범 판매량, 유튜브 조회수, SNS 팬 활동 등에서 매우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, 이는 K-POP 그룹들의 해외 활동 전략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

태국 – 리사와 함께한 K-POP의 붐

태국은 K-POP의 인기가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. 특히 BLACKPINK의 리사가 태국 출신이라는 점은 현지 팬들에게 자부심을 주며, K-POP에 대한 관심을 더욱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었습니다. 리사의 개인 활동과 함께 블랙핑크 전체에 대한 열렬한 응원은 유튜브 조회수, 공연 티켓 판매 등에서 명확히 드러납니다.

뿐만 아니라, 태국은 다양한 K-POP 콘서트가 열리는 중요한 시장이며, 현지 방송과 브랜드에서도 K-POP 아티스트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. NCT, GOT7, BTS, SEVENTEEN 등 다양한 그룹들이 태국 팬들을 위한 팬미팅과 쇼케이스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왔고, 이는 강력한 팬덤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

인도네시아 –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팬덤

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K-POP 온라인 팬덤을 가진 나라 중 하나입니다. 인구 규모가 크고 SNS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인도네시아에서는 트위터, 유튜브, 인스타그램 등 플랫폼을 중심으로 K-POP 관련 콘텐츠가 매일같이 화제가 됩니다.

특히 BTS, EXO, TREASURE, TXT 등의 그룹은 인도네시아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, 멤버들의 생일 프로젝트, 팬 이벤트, 광고 서포트 등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팬들은 자체적으로 광고판을 구매하거나 기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K-POP 문화를 자발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.

현지 방송에서도 K-POP 관련 프로그램이 편성되고 있으며, 유튜브 쇼츠와 틱톡을 통해 팬덤 문화는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.

베트남 – 꾸준하고 진심 어린 팬문화

베트남에서도 K-POP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사랑받고 있으며, BTS, BLACKPINK, TWICE, iKON 등의 그룹이 특히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. 베트남 팬덤의 특징은 긴 호흡의 응원과 진심 어린 지지입니다.

공연장에 방문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베트남 팬들은 자체 커뮤니티를 통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,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아티스트의 활동을 널리 알리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. 또한 한국어 학습과 K-POP 커버 댄스, 팬아트 활동 등으로 적극적인 참여 문화를 이어가고 있으며, 베트남 언론도 K-POP 소식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.

왜 동남아에서 K-POP이 강할까?

동남아시아에서 K-POP이 이처럼 강력한 지지를 받는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. 첫째, 공감 가능한 문화 코드입니다. 가족, 우정, 청춘이라는 주제는 동남아 청년층과 감정적으로 연결되며, K-POP 콘텐츠는 이를 음악과 영상으로 세련되게 풀어냅니다.

둘째, 비주얼과 퍼포먼스 중심의 콘텐츠는 언어 장벽을 넘는 강점을 갖고 있어, 자막 없이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. 마지막으로, K-POP 아티스트들이 현지 팬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존중하는 자세 또한 깊은 팬심을 자극하는 요인입니다.

향후 전망과 그룹들의 전략

동남아 시장은 앞으로도 K-POP에게 중요한 전략적 무대가 될 것입니다. 이미 다수의 그룹이 태국, 인도네시아, 베트남 출신 멤버를 팀에 포함하고 있으며, 이는 자연스럽게 현지 팬들과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주는 효과를 냅니다.

또한, 각종 글로벌 팬 플랫폼과 함께 V LIVE, 유튜브 라이브 등을 통해 언어 장벽을 허물고, 직접 팬들과 소통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. 음원, 공연, 굿즈 판매뿐 아니라 팬들의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이 활발한 동남아는 K-POP의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시장임이 분명합니다.